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자카르타 예술위원회가 주최하는 소설 공모전이다.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 수상작으로는 아유 우타미의 《사만》, 푸투 위자야의 《Merdeka》 등이 있으며,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등 여러 작가들이 이 공모전을 통해 등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문학상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은 국제아동청소년도서협의회(IBBY)가 아동 문학과 그림책 분야에 공헌한 작가와 삽화가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초기에는 개별 작품을 대상으로 했으나 현재는 작가 또는 삽화가의 전체 경력을 평가하며, 세계 아동 문학의 발전과 문화 교류에 기여하고 2022년에는 한국의 이수지 작가가 삽화상을 수상했다.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 | |
---|---|
개요 | |
이름 |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 |
로마자 표기 | Jakarta Arts Council Novel Competition |
인도네시아어 표기 | Sayembara Novel Dewan Kesenian Jakarta |
주최 |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
상세 정보 | |
목적 | 인도네시아 문학 발전에 기여, 질 높은 소설 창작 장려, 새로운 작가 발굴 |
분야 | 소설 |
참가 자격 | 인도네시아 시민 누구나 (특정 조건 있을 수 있음) |
시상 내역 | 상금, 출판 지원, 창작 지원금 등 (매년 변동 가능) |
특징 |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 공모전 중 하나로 여겨짐, 수상작은 인도네시아 문학계에서 주목 받음 |
역사 | |
시작 연도 | 1974년 |
중단 | 1997년 ~ 2012년 |
재개 | 2013년 |
2021년 수상자 | 무하마드 알 파야드 - "계속되는 노래" 라누 프리타다라 - "잘못된 주소" 위나 보작 - "아마파이" |
2. 공모전 역사
자카르타 예술 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1974년에 처음 시작되어 인도네시아 문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초기에는 개인적이고 전통적인 주제의 작품들이 주로 수상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 비판적인 내용과 실험적인 형식을 갖춘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개인적인 성찰, 일상, 전통 가치관을 다룬 작품들이 주로 수상하였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인도네시아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문학적 실험이 이루어졌다. 특히 1998년 아유 우타미의 《사만》은 여성의 성적 욕망을 솔직하게 다루어 인도네시아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0년대 이후 민주화와 함께 표현의 자유가 확대되면서 사회 문제, 소수자 문제, 역사적 사건 등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등장했으며, 실험적인 형식과 기법을 사용한 작품들도 주목받았다.
2. 1. 초기 (1970년대)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1974 | Astiti Rahayu | 아스파르 | 수상 |
Dari Hari ke Hari | H. 마붑 주나이디 | 수상 | |
Qisas | C. M. 나스 | 수상 | |
Sisa-Sisa Hari Kemarin | 수파르타 브라타 | 수상 | |
1975 | Mencoba Tidak Menyerah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수상 |
Raumanen | 마리아느 카토포 | 수상 | |
1976 | Upacara | 코리 라윤 람판 | 2등상 |
Pembayaran | 코윌 뇬리 | 3등상 | |
1977 | Jembatan | 에이하 | 2등상 |
Tiga Lagu Dolanan | 이스마일 마르히민 | 2등상 | |
Aku Bukan Komunis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가작 | |
Nakhoda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가작 | |
Stasiun Bukit Gundul | 아르스웬도 아트모윌로토 | 가작 | |
1978 | Ke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3등상 |
초기 수상작들은 사회 비판적인 내용보다는 개인적인 성찰, 일상적인 삶의 모습, 전통적인 가치관을 다룬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2. 2. 발전기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인도네시아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문학적 실험이 이루어졌다.1981년에는 다르만 무니르의 《Bako》가 1등상을 수상했다.[2] 같은 해 나스자 자민의 《Harapan Hadiah Harapan》이 2등상을, 수하르모노의 《Den Bagus》, E. 노비의 《Dicari Hari yang Cerah》, 함삿 랑쿠티의 《Ketika Lampu Berwarna Merah》, 푸투 위자야의 《Merdeka》, 에디루슬란 아만리자의 《Panggil Aku Sakai》가 가작을 수상했다.[2]
1998년에는 아유 우타미의 《사만》이 1등상을 수상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2] 이 작품은 여성의 성적 욕망을 솔직하게 다룬 내용으로 인도네시아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같은 해 코리 라윤 람판의 《Api Awan Asap》이 2등상, 에디루슬란 아만리자의 《Dikalahkan Sang Sapurba》가 3등상을 수상했다.[2]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1981 | 《Bako》 | 다르만 무니르 | 1등상 |
《Harapan Hadiah Harapan》 | 나스자 자민 | 2등상 | |
《Den Bagus》 | 수하르모노 | 가작 | |
《Dicari Hari yang Cerah》 | E. 노비 | 가작 | |
《Ketika Lampu Berwarna Merah》 | 함삿 랑쿠티 | 가작 | |
《Merdeka》 | 푸투 위자야 | 가작 | |
《Panggil Aku Sakai》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가작 | |
1998 | 《사만》 | 아유 우타미 | 1등상 |
《Api Awan Asap》 | 코리 라윤 람판 | 2등상 | |
《Dikalahkan Sang Sapurba》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3등상 |
2. 3. 민주화 이후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이후 민주화와 함께 표현의 자유가 확대되면서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사회 문제, 소수자 문제, 역사적 사건 등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등장했으며, 실험적인 형식과 기법을 사용한 작품들도 주목받았다.2003년에는 데위 사르티카의 《Dadaisme》가 1등상을 수상했고, 아비다 엘 할리키의 《Geni Jora》, 라티 쿠말라의 《Tabula Rasa》가 각각 2등상과 3등상을 수상했다.[2] 2006년에는 마수리의 《Hubbu》가 1등상을 받았고, 투시란 수세노의 《Mutiara Karam》, 칼빈 미헬 시자야의 《Jukstaposisi》가 그 뒤를 이었다. 주나이디 스티요노의 《Glonggong》과 요나탄 S. 라하르조의 《Lanang》은 가작에 머물렀다.[2] 2008년에는 아닌디타 S. 타입의 《Tanah Tabu》가 1등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위스란 하디의 《Persiden》, 아라팟 누르의 《Lampuki》, 라마이다 아크말의 《Jatisaba》, 헨드리 트자의 《Memoar Alang-alang》이 당선되었다.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2003 | 《Dadaisme》 | 데위 사르티카 | 1등상 |
《Geni Jora》 | 아비다 엘 할리키 | 2등상 | |
《Tabula Rasa》 | 라티 쿠말라 | 3등상 | |
《Ular Keempat》 | 구스 tf 사카이 | 가작 | |
《Tanah Biru》 | 판두 압두라라만 | 가작 | |
2006 | 《Hubbu》 | 마수리 | 1등상 |
《Mutiara Karam》 | 투시란 수세노 | 2등상 | |
《Jukstaposisi》 | 칼빈 미헬 시자야 | 3등상 | |
《Glonggong》 | 주나이디 스티요노[2] | 가작 | |
《Lanang》 | 요나탄 S. 라하르조 | 가작 | |
2008 | 《Tanah Tabu》 | 아닌디타 S. 타입 | 1등상 |
2010 | 《Persiden》 | 위스란 하디 | 당선 |
《Lampuki》 | 아라팟 누르 | 당선 | |
《Jatisaba》 | 라마이다 아크말 | 당선 | |
《Memoar Alang-alang》 | 헨드리 트자 | 당선 |
wikitext
3. 주요 수상작
3. 1. 1970년대 주요 수상작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1974 | Astiti Rahayu | 아스파르 | 수상 |
1974 | Dari Hari ke Hari | H. 마붑 주나이디 | 수상 |
1974 | Qisas | C. M. 나스 | 수상 |
1974 | Sisa-Sisa Hari Kemarin | 수파르타 브라타 | 수상 |
1975 | Mencoba Tidak Menyerah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수상 |
1975 | Raumanen | 마리아느 카토포 | 수상 |
1976 | Upacara | 코리 라윤 람판 | 2등상 |
1976 | Pembayaran | 코윌 뇬리 | 3등상 |
3. 2. 1980년대 주요 수상작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1981 | 바코 (Bako) | 다르만 무니르 | 1등상 |
1981 | Harapan Hadiah Harapan | 나스자 자민 | 2등상 |
1981 | Den Bagus | 수하르모노 | 가작 |
1981 | Dicari Hari yang Cerah | E. 노비 | 가작 |
1981 | Ketika Lampu Berwarna Merah | 함삿 랑쿠티 | 가작 |
1981 | 메르데카 (Merdeka) | 푸투 위자야 | 가작 |
1981 | Panggil Aku Sakai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가작 |
3. 3. 1990년대 주요 수상작
아유 우타미의 《사만》(Samanid)이 1998년에 1등상을 수상했다.[2]3. 4. 2000년대 이후 주요 수상작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2003 | Dadaisme | 데위 사르티카 | 1등상 |
2006 | Hubbu | 마수리 | 1등상 |
2008 | Tanah Tabu | 아닌디타 S. 타입 | 1등상 |
2010 | Persiden | 위스란 하디 | 당선 |
2010 | Lampuki | 아라팟 누르 | 당선 |
4. 수상자
자카르타 예술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인도네시아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들을 다수 배출했다.
4. 1. 주요 수상 작가
연도 | 작품 | 작가 | 입상 |
---|---|---|---|
1974 | Astiti Rahayu | 아스파르 | 수상 |
Dari Hari ke Hari | H. 마붑 주나이디 | 수상 | |
Qisas | C. M. 나스 | 수상 | |
Sisa-Sisa Hari Kemarin | 수파르타 브라타 | 수상 | |
1975 | Mencoba Tidak Menyerah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수상 |
Raumanen | 마리아느 카토포 | 수상 | |
1976 | Upacara | 코리 라윤 람판 | 2등상 |
Pembayaran | 코윌 뇬리 | 3등상 | |
1977 | Jembatan | 에이하 | 2등상 |
Tiga Lagu Dolanan | 이스마일 마르히민 | 2등상 | |
Aku Bukan Komunis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가작 | |
Nakhoda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가작 | |
Stasiun Bukit Gundul | 아르스웬도 아트모윌로토 | 가작 | |
1978 | Ke | 유디스티라 아르디 누그라하 | 3등상 |
1981 | Bako | 다르만 무니르 | 1등상 |
Harapan Hadiah Harapan | 나스자 자민 | 2등상 | |
Den Bagus | 수하르모노 | 가작 | |
Dicari Hari yang Cerah | E. 노비 | 가작 | |
Ketika Lampu Berwarna Merah | 함삿 랑쿠티 | 가작 | |
Merdeka | 푸투 위자야 | 가작 | |
Panggil Aku Sakai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가작 | |
1998 | 《사만》 | 아유 우타미 | 1등상 |
Api Awan Asap | 코리 라윤 람판 | 2등상 | |
Dikalahkan Sang Sapurba | 에디루슬란 아만리자 | 3등상 | |
2003 | Dadaisme | 데위 사르티카 | 1등상 |
Geni Jora | 아비다 엘 할리키 | 2등상 | |
Tabula Rasa | 라티 쿠말라 | 3등상 | |
Ular Keempat | 구스 tf 사카이 | 가작 | |
Tanah Biru | 판두 압두라라만 | 가작 | |
2006 | Hubbu | 마수리 | 1등상 |
Mutiara Karam | 투시란 수세노 | 2등상 | |
Jukstaposisi | 칼빈 미헬 시자야 | 3등상 | |
Glonggong | 주나이디 스티요노[2] | 가작 | |
Lanang | 요나탄 S. 라하르조 | 가작 | |
2008 | Tanah Tabu | 아닌디타 S. 타입 | 1등상 |
2010 | Persiden | 위스란 하디 | 당선 |
Lampuki | 아라팟 누르 | 당선 | |
Jatisaba | 라마이다 아크말 | 당선 | |
Memoar Alang-alang | 헨드리 트자 | 당선 |
5. 공모전의 의의와 영향
자카르타 예술 위원회 소설 공모전은 인도네시아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공모전은 신진 작가들에게 등단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도네시아 문학의 다양성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사회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다룬 작품들을 통해 공론의 장을 형성하고, 대중들의 인식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AKARTA ARTS COUNCIL ANNOUNCED THE WINNERS OF SAYEMBARA NOVEL 2021
https://thesmedia.id[...]
2022-05-16
[2]
문서
원 철자는 'Junaedi'이나, 이는 [[아랍어]] 이름 'جنید'(주나이드)의 인도네시아어식 표기임을 감안하여 '주나이디'로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